직업건강 클리닉
본문
심혈관 질환 위험이 높은 겨울철,
더 건강한 일터 만들기
글. 김치훈 부천세종병원 심장내과 과장
-
겨울에 더 위험한 심혈관 질환
겨울이 되면 심장 질환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들은 바빠집니다. 해마다 겨울이 다가오면 흉통이나 호흡곤란 같은 심장 질환 증상이 악화하여 예정된 날짜보다 더 일찍 진료실에 방문하는 환자들이 많아지는 것으로 계절이 바뀌고 날씨가 추워지는 것을 실감합니다. 날이 추워질수록 응급실에는 급성심근경색 환자가 더 많이 찾아오며 야간이나 이른 새벽에 당직 근무자들을 호출하여 응급 심혈관 조영 검사를 시행해야 하는 사례도 더 많아집니다.날씨가 추워지는 겨울부터 이른 봄까지 심혈관 질환 발병이 늘어난다는 것은 국내외의 통계 자료가 뒷받침합니다. 1973년부터 2001년까지 미국인의 심장병 역학 자료를 분석한 미국 심장 협회의 발표에 따르면 심장 질환에 의한 사망 위험은 크리스마스가 들어 있는 연말 마지막 1주일에 가장 높았다고 합니다.(1) 2005년부터 2019년까지 미국의 전체 입원 환자의 의무기록을 분석한 한 연구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증가하는 탓에 항상 다른 계절보다 겨울에 입원 환자의 사망률이 증가하는 모습이 매년 반복했다고 보고하기도 했습니다.(2)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우리나라 건강보험 자료를 분석한 연구에서도 겨울 혹한기인 1월과 2월은 물론, 겨울이 시작하는 12월과 날씨가 풀리기 시작하지만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큰 3월에도 심근경색 환자가 다른 때보다 더 많이 발생했다고 보고했습니다.(3)
겨울에 심혈관 질환으로 고생하는 환자들이 많은 것에는 여러가지 요인이 작용합니다.(4) 갑자기 바깥 추운 날씨에 노출되면 추위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 몸의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어 전신 혈관이 수축하며 혈압과 맥박이 상승하는데 이 때 심장으로 향하는 혈액 공급에 이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실내외 온도차가 크고 영하의 한파가 몰아치는 날씨에 방한 대책을 제대로 세우지 않고 바깥 활동에 나서는 경우는 물론이고 가을에서 겨울로, 다시 겨울에서 봄으로 계절이 바뀌면서 일교차가 커지는 경우에도 혈관의 수축과 확장이 극적으로 악화하면서 심혈관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5) 게다가 겨울에는 난방 수요가 많은데 대도시에서 대기가 정체되는 경우에는 대기 오염이 심해지고 미세먼지 농도가 위험 수준까지 올라갈 수 있습니다. 근래의 여러 역학 연구들은 미세 먼지 농도가 오르면 호흡기 질환은 물론 심혈관 질환의 발병도 비례해서 증가한다는 점을 입증했습니다.(6, 7) 한편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는 독감이나 폐렴과 같은 감염성 질환도 심부전 환자의 증상 관리를 더 어렵게 하고, 심근경색 발병 위험과 사망 위험도 높일 수 있습니다.(8, 9) 또 겨울철에 햇빛을 쐴 기회가 적어지면 비타민 D가 부족해질 수 있는데, 이 역시 심혈관 질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10, 11) -
겨울철 심혈관 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수칙
겨울에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고 건강한 생활을 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건강한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일주일에 3번 이상 30분 이상 천천히 뛰거나 실내 자전거를 타는 등의 땀이 약간 날 정도의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이어가면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데 큰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12) 유산소 운동은 심장과 폐를 단련시키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며 심장 건강에 도움을 줍니다. 가벼운 아령을 들거나 스쾃을 하는 것과 같은 근력 운동도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을 정도로 병행한다면 특히 겨울에 빙판길에서 넘어지더라도 크게 다치지 않을 수 있는 근력과 신체 균형 감각을 키우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13) 스트레스 관리에 도움이 된다면 요가나 필라테스, 반신욕이나 명상과 같은 취미를 가져보는 것도 좋습니다. 운동 전후로 충분한 준비 운동과 정리 운동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겨울철에는 실외 운동 시 체온 유지에 주의해야 하므로, 필요한 경우 실내에서 운동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짠 음식과 너무 기름지고 단 음식은 줄이고 신선한 채소와 과일, 생선을 중심으로 한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혈관에 만성 염증을 초래하는 흡연과 심혈관 건강을 해치는 과도한 음주도 피해야 합니다. 적정 실내 온도를 유지하고 외출 시에는 얇은 옷을 여러 겹 겹쳐서 따뜻하게 차려 입고 모자와 장갑을 착용해 추위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부위를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해마다 가을이 되면 특히 65세 이상의 고혈압 당뇨와 같은 만성 질환을 가진 분들은 인플루엔자 독감 예방 접종을 미리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14) 특히 심부전으로 투약 관리를 받으시는 고령 환자 중에서 폐렴구균 예방 접종과 대상포진 접종 등 기본 예방 접종 항목을 받지 않은 분들은 겨울이 되기 전에 필요한 예방 접종을 받는 것이 심부전 관리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15, 16) 고혈압이나 당뇨, 만성 콩팥병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과 같은 만성 질환으로 투약 관리하시는 분들은 날씨가 추워지기 전 담당 의사와 투약 조정이 필요한지 미리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협심증으로 병원을 다니시는 분들은 담당 의사와 만나 협심증 증상 관리를 위해 필요할 때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이나 스프레이를 미리 챙겨둘지 의논하는 것이 좋습니다.(17) 일조량이 적은 겨울에도 기온이 비교적 높은 늦은 오전 시간에 20분 정도 햇빛을 쐬는 것이 비타민 D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10, 18) 필요한 경우 의사와 상담하여 비타민 D 보충제를 복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노동자들의 겨울철 건강 유지를 위한 사업주와 사업장 보건관리자의 역할
사업주와 사업장 보건관리자는 노동자들이 겨울철에도 일터에서 건강하게 일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사업주는 노동자들이 따뜻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사무실이나 작업장, 일터의 난방 시스템을 점검하고 일하는 공간의 온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추운 날씨에 기상이 악화하여 폭설이 내리는 경우 출퇴근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유연 근무제를 도입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노동자들이 상황에 맞추어 재택 근무를 선택하거나 출퇴근 시간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면 이들이 건강을 해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보다 더 적극적으로 사업장의 보건 환경을 개선하고 위험 요인을 사전에 발견하기 위해 사업주나 사업장 보건관리자는 노동자들에게 겨울철 건강 관리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며 심혈관 질환의 위험성과 예방 방법을 알려야 합니다. 전문 기관과 연계하여 정기적인 직장 검진을 시행하여 근로자들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만성 질환을 적극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특히 중장년층에 해당하는 노동자가 많은 사업장에서는 만성 질환 환자들이 어떤 건강 문제가 있는지 미리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진료와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전문가를 초청하여 건강 강좌를 열거나 건강 관리 안내서를 제작하여 배포할 수도 있습니다. 매년 가을 독감 예방 접종을 장려하고 폐렴구균이나 대상포진 예방 접종의 접종 대상이 될 수 있는 직원들이 있는 경우 예방 접종을 시행한 직원들에게 인센티브를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겨울철 가까운 실내체육시설 이용권을 제공하거나 건강 관리 비용을 지원하는 등의 방법으로 노동자들의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은 우울증이나 스트레스 관련 질환 위험이 높아지는 시기이기도 한 만큼, 노동자들의 정신 건강을 지원하기 위해 전문 기관과 연계하여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직장 내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노동자들이 심리적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겨울철, 더 건강한 일터를 만들려면
겨울철은 심혈관 질환의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시기이기에 우리 모두 이에 대한 예방과 관리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노동자 개인으로서는 야외 활동 시 방한 대책을 강구하고,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습관, 충분한 수분 섭취, 금연 및 절주, 정기적인 건강 검진 등의 예방수칙을 지켜야 합니다. 사업주와 보건관리자는 노동자들을 위해 노동 환경 개선, 유연 근무제 도입, 건강 교육 및 예방 프로그램 제공, 심리적 지원 프로그램 도입, 복지 혜택 강화 등의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노동자들이 겨울철에도 생산성을 높이며 건강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문헌
- 1) Phillips DP, Jarvinen JR, Abramson IS, Phillips RR. Cardiac Mortality Is Higher Around Christmas and New Year’s Than at Any Other Time. Circulation. 2004;110(25):3781-8.
- 2) Ashraf M, Sulaiman S, Alyami B, Bhatia A, Jahangir A. Seasonal Variation in the Incidence of In-Hospital Cardiac Arrest. JACC: Clinical Electrophysiology. 2023;9(8, Part 3):1755-67.
- 3) Jin CD, Kim MH, Lee KM, Yun S-C. Effect of Temperature Variation on the Incidence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J Korean Med Sci. 2024;39(10).
- 4) Fares A. Winter cardiovascular diseases phenomenon. N Am J Med Sci. 2013;5(4):266-79.
- 5) Ni W, Stafoggia M, Zhang S, Ljungman P, Breitner S, Bont Jd, et al. Short-Term Effects of Lower Air Temperature and Cold Spells on Myocardial Infarction Hospitalizations in Sweden.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2024;84(13):1149-59.
- 6) Rajagopalan S, Landrigan PJ. Pollution and the Heart.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21;385(20):1881-92.
- 7) Miller KA, Siscovick DS, Sheppard L, Shepherd K, Sullivan JH, Anderson GL, et al. Long-Term Exposure to Air Pollution and Incidence of Cardiovascular Events in Women.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07;356(5):447-58.
- 8) Kwong JC, Schwartz KL, Campitelli MA, Chung H, Crowcroft NS, Karnauchow T, et al.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fter Laboratory-Confirmed Influenza Infection.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8;378(4):345-53.
- 9) Boer ARd, Riezebos-Brilman A, Hout Dv, Mourik MSMv, Rümke LW, Hoog MLAd, et al. Influenza Infection and Acute Myocardial Infarction. NEJM Evidence. 2024;3(7):EVIDoa2300361.
- 10) Wimalawansa SJ. Vitamin D and cardiovascular diseases: Causality. The Journal of Steroid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2018;175:29-43. 11) Michos ED, Blumenthal RS. Vitamin D Supplementa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Circulation. 2007;115(7):827-8.
- 12) Bull FC, Al-Ansari SS, Biddle S, Borodulin K, Buman MP, Cardon G, et al.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guidelines on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ur. Br J Sports Med. 2020;54(24):1451-62.
- 13) Patel H, Alkhawam H, Madanieh R, Shah N, Kosmas CE, Vittorio TJ. Aerobic vs anaerobic exercise training effects on the cardiovascular system. World J Cardiol. 2017;9(2):134-8.
- 14) Grohskopf LA, Ferdinands JM, Blanton LH, Broder KR, Loehr J. Prevention and Control of Seasonal Influenza with Vaccines: Recommendations of the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 United States, 2024-25 Influenza Season. MMWR Recomm Rep. 2024;73(5):1-25.
- 15) Choi WS. Adult Immunization Policy in Korea. Infect Chemother. 2023;55(3):317-21.
- 16) Heidenreich PA, Bozkurt B, Aguilar D, Allen LA, Byun JJ, Colvin MM, et al. 2022 AHA/ACC/HFSA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Heart Failure: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Joint Committee 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irculation. 2022;145(18):e895-e1032.
- 17) Virani SS, Newby LK, Arnold SV, Bittner V, Brewer LC, Demeter SH, et al. 2023 AHA/ACC/ACCP/ASPC/NLA/PCNA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Chronic Coronary Disease: A Report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Joint Committee 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irculation. 2023;148(9):e9-e119.
- 18) Holick MF, Binkley NC, Bischoff-Ferrari HA, Gordon CM, Hanley DA, Heaney RP, et al. Evaluatio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Vitamin D Deficiency: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2011;96(7):1911-30.